본문 바로가기
  •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
abt Semiconductor/Semiconductor theory

VLSI Engineering _ Diffusion (요약 정리)

by cloudin 2023. 10. 24.

 

Diffusion

 

 

  • Main purpose

- Diffusion

- Ion implantation

 

Diffusion Ion implantaion
- High temperature, hard mask (SiO₂)
- Isotropic dopant profile (원하는 것보다 더 많이 들어가게 됨, lateral diffusion)
- Cannot independently control the dopant concentration, junction depth (농도차에 의해 확산하기 때문에 diffusion하려고 온도와 시간을 정해주면 junction depth를 정할 수 있지만 방향까지 control하긴 어렵다)
- Low temperature, PR mask
- Anisotropic dopant profile (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용이)
-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dopant concentration, junction depth (에너지를 세게 주면 많이 들어가고, 에너지를 낮게 주면 적게 들어감 -> 원하는 깊이 조절이 용이)

 

 

  • Diffusion vs. Ion Implantation doping profile

Diffusion : surface에서 농도가 가장 높다 (그래프..)

Ion Implantation : 에너지를 준 곳에 농도 가장 높다 -> Gaussian 분포

그림.. 넣기가 너무 귀찮아..ㅠ

 

 

  • Diffusion Procedure

1) Substitutional diffusion : 빈공간을 치환해서 들어감. 공정 중에 열을 주게 되면 Si에 Vacancy가 발생하고 우리가 주입한 impurity가 그 자리에 들어간다. Dopant shallow level에 존재

2) Interstitialy diffusion : 빈 공간을 타고 들어가다 기존 실리콘의 자리를 뺏음

3) Interstitial diffusion : 빈 공간 사이사이 지나며 diffusion하는 impurity, 속도가 더 빠름, recombination center / Deep level에 존재

 

 

  • Modeling of Diffusion

수식적인건 생략

 

 

  • Two-Step Diffusion

- pre-deposition : 원하는 만큼 dopant 주입

- drive-in : dopant 주입 끊고 열공정하여 원하는 깊이의 junction 만들어줌

** Thermal budget : Dt (D : diffusion constant, t : time) -> 뒷공정에 열공정 있으면 계속 확산하니까 Dt를 보고 앞단 열공정을 조절해야 한다.

 

Constant-source diffusion -> pre-dep -> known dose Q

limited-source diffusion -> drive-in -> (Dt)drive

 

(Dt)predep >> (Dt)drive   ---->  final impurity distribution is erfc (erfc로 불순물들이 분포)

(Dt)predep << (Dt)drive   ---->  final impurity distribution is Gaussian (gaussian 으로 불순물들이 분포)

 

 

  • Solid Solubility Limit

: 최대 넣어줄 수 있는 dopant들의 갯수, Diffusion시 불순물들이 si 사이사이에 들어가는데 이때 최대 들어갈 수 있는 농도를 말함

 

 

  • Junction Formation

수식적인 건 넘어감~

 

 

  • Concentration - dependent Diffusion

- kink effect

unique feature of P case

D of P becomes enhanced at around 10^19 /cm³ (불순물 농도가 10^19일 때 phosphorus의 diffusion coefficient가 커지는 현상-> 생각했던 것보다 더 깊이 diffusion됨

 

- sheet resistance

예제있음

 

  • Irvin's curve

: sheet 저항, Junction depth, surface 농도 간 관계를 그린 그림

예제있음

 

 

  • RTP (Rapid Thermal Process)

: Dt에서 time을 줄이는 방법, 온도를 빨리 올려 Annealing을 빨리해서 Dt 값을 최대한 줄이는 diffusion 과정

Shallow Junction -> Need to Small Thermal Budget (Dt)

 

 

  • Comparison Furnace VS. RTP
구분 Furnace RTP
다루는 wafer수 Batch (20~25장) Single Wafer (하나씩)
외벽의 온도 Hot Wall (공간 자체 온도가 높다) Cold wall (wafer온도만 증가시킴)
공정 시간 Long time (수시간~수십분) Short time (1분이내)
온도 변화율 small (천천히 온도 올라감) Large (1초마다 50도정도)
Cycle Time Hight Low
Temp monitor Furnace (내부 온도)` Wafer (Wafer 표면 온도)
Particle Problem Yes Minimum (한장씩 진행해서 주변 환경 제어가 용이함)
Thermal Budget (열처리량) Hight Low
공정시간 및 온도 (대략) 850~1000℃, 30분 1100~1150℃, 30초